이번엔 학기 중 공부량 추이에 대해 살펴본다. 2-2를 기준으로 삼아 본다.
1. 학기 중 공부시간 추이



- 2학기는 15주
- other로 표시된 과목은 튜터링임.
- 보는 바와 같이 첫주에는 하루 3시간도 안함. 보통 2일 6시간, 2일 3시간 3일 놀았던 것 같음. 노는 시간에는 당해 학기 공부방식 계획 기출문제 정리 등이 포함됨.
- 중간고사까지 8주, 기말고사까지 7주라서, 기말 7주는 조금 더 밀도 높았음.
- 특히 2-2 중 가장 비중이 높은 형사재판실무 과목은 중간고사를 치지 않으므로 중간기간의 밀도가 더 떨어졌음.
- 위와 같은 패턴이 6학기 동안 유사하게 반복됨. (그래도 3학년 때는 초반주에 공부시간이 좀 나옴)
- 시험 4주전 ~ 2주 전까지는 학교 출퇴근 시간은 유사하나, 순공부시간에서 차이를 보임. 시험 2주전부터 시험기간에는 앉아있는 시간부터 다름.
-시험 3주전 부터는 보통 6~7시간자고, 진정시험주간에는 보통 4시간, 많으면 5시간 자고, 적게는 2시간 잔다. 다만 2시간 자면 15분씩 쪽잠을 3번 이상은 잔다.
결론적으로 학기 내내 밀도높게 달리는 것은 아니고 시험 전 8~6주차까지는 비교적 여유가 있다. 마음 속에 불안감은 항상 존재하겠지만.. 보통 시험 3주전, 이르면 4주전, 여유 있으면 2주전에 연인들은 마지막 데이트를, 솔로들은 시험 전 마지막 술을 마시곤 한다.
2. 시험기간의 공부
1) 공부시간 배분의 중요성
수험법학은 같은 시간을 기준으로 할 때 조금씩 꾸준히 보다는, 한번에 몰아치는 편이 더 효율적이다. 따라서 시험 3주 전의 21일을 5과목 대비에 사용한다고 할 때 매일 1과목씩 돌려가며 공부하는 것보다 2일씩 한과목을 돌리는 것이 낫다. 다만 실제로는 매주 나가는 진도를 따라잡아야 하므로 현실적으로 시험기간에 한과목을 순수 2일 보는 경우는 드물다. (한과목에 순1일을 투자하는 것도 드물다)
따라서 수업이 종료하는 시험 전주 목요일 또는 금요일부터 시험일 분포에 따른 휴식일에 공부시간을 과목별로 어떻게 붙이고 자를 것인지가 중요하게 된다.

2) 실사례
- 시험 4주전부터 마음으로는 시험기간이 시작된다. 다만 몸은 그러지 못하고 3주 전부터 슬슬 열심히 하게 되며 계획을 짠다.
- 2-2 기말의 꽃은 형재실이다. 따라서 11/24부터 11/30까지는 다른 과목은 진도는 나가지만 정말 최소한의 복습만했고, 27,28,29는 오로지 형재실만 했다. 이때 27,28,29 모두 수업이 있었다.
- 별론으로 내신과목 기말고사를 형재실 시험 이후 1주일간 휴식주를 주고 그 다음주에 보는 학교가 있다. 아쉽게도 모교는 그런 학교가 아니라서 곧바로 기말고사를 치러야 하므로, 기말이 부담되어 형재실에 완전히 집중하기 어렵고 로클럭 준비생에게 불리한 환경이다.
- 형재실 시험을 치르고 바로 이틀 후에 치르는 헌소시험을 위해 바로 헌소 공부를 하되, 3일 모두 투자하는 것은 과잉하므로 30,1일 오후까지 헌소를 1회독 및 최종정리를 하고, 2,3회독에 들 시간을 계산한 후 남는 시간은 행쟁에 썼다.
- 위와 달리, 헌소시험 이후 하루의 휴식일만 둔 채 행쟁과 형소연 시험이 연달아 있어서, 뒤에 있는 형소연 공부를 먼저하고, 1.5일을 행쟁에 썼다. 사실 형재실에서 형소법을 상당부분 하기에 위 기간 중 행쟁과 형소연을 동일 비중으로 한다는 것은 비합리적으로 보이지만, 학기 중에 행쟁에 과투입해두었어서 시험기간에 형소연에 시간을 더 쓰게 되었다.
- 선택법의 경우 보통 시험기간을 피해 시험일을 정해주는데, 시험기간 주말 또는 시험 전주에 주로 시험을 치른다. 이때 다른 시험이 모두 끝나고 선택법만 순 2일 이상 공부할 시간이 주어진다면 3주전부터 그 과목은 공부하지 않는다. 2일 이상 즉 20~24시간을 계속해서 한 과목만 공부하게 되면 단기적으로 암기력과 이해도가 상당히 오르기 때문에 충분히 대비가능하다.
다만 3주간이나 당해 과목을 보지 않았기에 리마인드에 시간이 꽤나 걸리고, 차라리 그 부분 수업을 들었던 때에 바로 복습하는 것이 효율이 좋았을 수 있다는 점, 대다수 원우들이 시험이 끝나서 텅빈 열람실에서 시험공부 하는 것은 매우 고통스럽다는 점을 고려해야 한다.
작성자는 11/21에 마지막 노동법 공부를 하고, 다른 시험이 모두 끝난 12/6부터 재개했다. 진정시험주간에는 하루 10시간은 당연하고, 12~14시간이 통상인데, 12/6 15시쯤 시험이 끝났는데도 그날 통으로 쉬었고, 12/7 6시간, 12/8 8시간 45분 12/9 10시간을 하는 등 의욕이 너무 없어서 정말 효율이 나오지 않았다.
ps. 사실 계획은 3년간 타임라인에 그래프로 과목별 공부시간을 표시하고 싶었는데, 엑셀실력이 미숙해 실패했다.
'로스쿨'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시간 관리 어플 추천 - "Be focused" (0) | 2022.07.16 |
---|---|
로스쿨 비용 - 책값 (0) | 2021.04.23 |
로스쿨 비용 - 등록금 및 장학금 (0) | 2021.02.24 |
로스쿨 공부 얼마나 해야하나? (2) - 과목별 (0) | 2021.01.26 |
로스쿨 공부 얼마나 해야하나? (1) (0) | 2021.01.17 |
댓글